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일상32

image-skin-thumname 존경받는 리더의 조건 이번 글에서는 존경받는 리더가 되기 위해 필요한 리더십의 조건을 다루어보겠습니다. 리더는 열린 마음을 지니고 구성원을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보지 않고, 신뢰관계를 구축하여 나아가는 중요한 파트너로 보아야 합니다. 이 때, 존경받는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크게 다음과 같은 조건을 준수해야합니다. 리더는 구성원의 적극적으로 의견을 경청하고, 최적의 의사를 결정해야 합니다. 상하위계관계에 기대어 구성원의 의견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지시를 내리는 것은 구성원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게끔 만듭니다. 리더와 구성원 모두 열린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해결해야할 문제를 공유하고, 능동적으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해야합니다. 그리고 리더에게 주어진 의사결정의 권한을 활용해 가장 합리적이고 실현가능.. 2023. 11. 10.
image-skin-thumname 동해 일본해 표기의 공식적 인정과 문제점 동해 (Korean East Sea) 는 한국과 일본, 러시아 등이 공유하고 있는 바다입니다. 그런데 일본은 각종 정치적 로비 및 홍보를 통해 자국의 이름을 딴 일본해(sea of Japan)라는 이름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미국 국방부는 ‘동해’가 아닌 ‘일본해’ 표기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 및 행정기관들 또한 이러한 표기에 전혀 문제가 없음을 밝혔습니다. 동해에 대한 일본해 표기는 엄연히 한국의 영해인 '동해'에 대한 위상을 낮추는 잘못된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일본해가 아닌 동해로 표기를 하는 것이 맞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일본해 표기 등장배경 일제강점기인 1929년 국제수로기구(IHO)는 ‘동해’ 대신 ‘일본해’로 표기하는 것이 맞다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일본의.. 2023. 11. 8.
image-skin-thumname 조선시대 서원의 입지와 건물 배치 구조 서원은 대부분 물과 산으로 둘러싸인 매우 아름다운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서원이 이렇게 도심지가 아닌 아름다운 자연 속에 위치하고 있는 이유와 건물의 구조, 그리고 그 속에 반영된 선인들의 사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서원 등장배경과 입지 서원은 조선시대에 등장을 하였습니다. 이 당시에는 성리학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성리학에서는 천인합일을 중시하였습니다. 하늘과 인간이 하나가 되는 것을 중시했던 사상의 영향으로 성리학자들은 자연 속에서 은둔하면서 마음과 몸을 수양하는 것을 중시했습니다. 그래서 아름다운 나무와 꽃이 가득하고, 물이 흐르는 자연 속에서 거주하며 심신을 수양할 수 있는 곳을 찾았습니다. 2. 서원의 건물배치구조 성리학의 이념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서원의 입지와 건물 배치는 기본적으로 .. 2023. 11. 7.
image-skin-thumname 대한민국 이중국적(복수국적)의 개념과 허용 국적선택의무 대한민국에서 국적을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습니다. 국적을 이중 또는 그 이상 가지고 있는 경우, 대한민국에서는 어디까지 허용을 해주고 있는지 이번 글에서 알아보겠습니다. 1. 이중국적(복수국적)이란? 이중국적은 한 사람이 국적을 2개 가지고 있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 개인이 국적을 개까지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어 2010년 이후부터 복수국적이란 용어로 대치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대중들은 이중국적 혹은 복수국적이란 용어를 아직까지 사람들이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2. 선천적 복수국적자란? 복수국적을 가지게 되는 주된 이유는 부모가 외국에 체류하는 동안에 해당 국가에서 출산을 한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는 부모님이 사업으로 인해 미국에서 체류.. 2023. 11. 1.
image-skin-thumname 헌혈의 종류 | 성분헌혈, 전혈헌혈 헌혈은 자신의 혈액을 다른 사람들을 위해 기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헌혈을 하기 위해서는 본임임을 증빙할 수 있는 주민등록증, 여권, 학생증 등이 있으면 됩니다. 신분확인이 끝나면 간단한 문진 검사를 마치고 참여하고 싶은 헌혈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헌혈의 종류에는 전혈헌혈과 성분헌혈이 있습니다. 헌혈을 하는 당시의 수급상황에 따라 필요한 헌혈을 기증자의 동의를 구하고 진행이 됩니다. 헌혈의 종류 | 전혈헌혈과 성분헌혈 전혈헌혈 전혈헌혈은 혈액의 모든 성분을 채혈합니다. 성분헌혈보다 참여할 수 있는 나이의 범위가 더 큽니다. 전혈헌혈을 한 경우, 8주 후 같은 요일에 다시 헌혈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일 년을 기준으로 최대 5회까지 가능합니다. 성분헌혈 성분헌혈의 경우 혈액에 있는 특정한 성분만을 채.. 2023. 10.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