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물가상승률(inflation)은 어떻게 화폐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나?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생이 된 A는 부모님에게 경제적 독립을 선언하고, 방과 후에 과외를 하며 월평균 100만 원을 벌고 있습니다. 학교 근처의 9평 남짓한 원룸에서 지내며 집주인에게 매달 50만 원의 월세를 지출하고, 각종 공과금까지 추가로 10만 원이 통장에서 빠져나갑니다. 남은 돈 40만 원으로 공부를 하기 위해 필요한 교재를 사고, 친구들과의 모임을 가지거나 끼니를 해결하려면 너무나 빠듯합니다. 그러던 2021년부터 물가가 갑자기 급격하게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기름값, 전기료, 가스비뿐만 아니라 밀가루 가격이 상승하며 평소 좋아하는 빵과 라면 가격도 덩달아 올랐습니다. A가 과외로 버는 돈은 100만 원으로 일정한데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 실제로 구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은 적어지므로 내가 지닌 돈의 가치는 하락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오천 원이었던 짜장면이 물가상승률로 인해 만원이 되어버렸다면 화폐 사용 가치는 실제로 낮아진 것입니다. 물가 상승 이전에는 현금 만원으로 오천 원짜리 짜장면 두 그릇을 먹을 수 있었지만 이제는 같은 돈으로 짜장면 한 그릇밖에 못 사 먹기 때문입니다. 결국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화되면 내가 가진 돈의 실제 가치는 하락시킬 수 있습니다.
2. 명목임금과 실질임금
명목(名目)은 겉으로 보이는 것을 의미하며 임금(賃金)은 노동의 대가로 받는 보수나 급여를 의미합니다. 즉 명목임금은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지 않고, 근로자들이 노동의 대가로 받은 표면적인 돈의 액수를 의미합니다. 반면 실질임금(實質賃金)은 임금의 실질적인 가치를 나타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물가상승률이 변동이 없는 상황에서, 노동의 댓가로 100만 원을 받았다면 명목임금과 실질임금은 동일합니다. 그러나 물가상승률이 10%라면 실질임금은 물가상승률을 뺀 90만 원 밖에 되지 않습니다. 노동의 대가로 받은 임금은 동일한데 물가만 계속 오른다면 실질 임금은 결국 감소하게 됩니다. 즉, 실제 돈의 가치는 명목임금이 아닌 실질임금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실질임금 = ( 명목임금 / 물가지수 ) x 100
명목임금은 그대로인데 물가지수만 계속 높아지면, 실질임금은 줄어들게 됩니다. 반면 물가지수는 낮아지거나 동일한데 명목임금이 늘어나면 실질임금은 높아지게 됩니다. 실제로 물가지수가 마이너스로 하락하는 경우는 없으며 변동성의 크기는 차이가 있으나 지속적으로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신의 연봉을 높이지 않는 이상 실질임금을 높일 수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근로소득 외에 기타 소득을 늘리기 위해서는 투자 공부를 꼭 해야 합니다.
통계청과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소비자 물가는 지속적으로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면 실질임금은 오히려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낮은 증가율을 보이다 오히려 마이너스 지수로 돌아서고 있습니다. 이는 근로소득의 실제 가치가 소비자 물가 상승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맞추어 임금(급여)을 올려야 한다고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기업은 원자재를 수급하는 비용이 늘어나고 노동비에 대한 지출이 커질수록 부담감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에서는 물가 급등에 맞춰 임금을 인상하는 것만으로는 생활비 상승을 막을 수 없으므로 전체적으로 경제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중앙정부 차원의 방안을 내놓아야 합니다. 물가가 안정된 상태에서 국가의 경제 생산량이 높아지면 일반적으로 임금을 올릴 수 있습니다.
연간 인플레이션율이 2%이고, 연간 실제 생산성이 5% 성장하였을 때, 실제 생산성 증가율은 3%입니다. 이러한 경제에서는 임금이 생산성에 따라 오르게 되면 실질 임금이 3% 증가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이전의 물가상승률은 0~1%대를 횡보하는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과 더불어 세계 공급망 시장이 불안정해지며, 국가 간 서로 보완할 수 있는 무역거래가 감소하면서 현재와 같은 인플레이션 현상이 전 세계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유가의 상승은 인플레이션 현상을 선도하며 이는 곧 개인 서비스 물가 및 농축산물 가격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중앙은행은 불안정한 물가지수를 잡기 위해 금리 인상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참고: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금리 인상은 가계 대출 이자 상환에 부담을 주고, 고물가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지갑을 닫게 만듭니다. 이러한 상황은 경기침체로 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기에 중앙은행은 금리 인상에 매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부총리가 경제단체장들과 만나 상품의 가격을 인상하고, 근로자들의 임금을 인상하는 것은 인플레이션을 높이는 악순환을 야기할 수 있다며 경고했습니다. 최대한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기업이 자체적으로 가격 상승 압력을 흡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현재의 물가 상승의 원인은 대내적 요인보다 대외적 요인이 큽니다. 인플레이션에 맞서 정부와 기업, 개인의 대응 방안에 대하여 유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시점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 상속 절감 방법과 공제 금액 상향 (4) | 2022.09.23 |
---|---|
경제블록 신냉전주의 가속화 (2) | 2022.09.22 |
중러 관계 강화 속 숨겨진 음모 (1) | 2022.09.20 |
미중 패권전쟁 러시아 가세 (2) | 2022.09.19 |
부동산 경매 가장임차인 구별 및 해결방법 (0) | 2022.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