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는 2025년 4월 7일, 라이선스를 취득한 가상 자산 거래 플랫폼과 펀드에서 이더리움을 포함한 다양한 가상 자산에 대한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규제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곧 현물 이더 ETF와 거래소의 ETH 보유에 대한 잠재적 스테이킹을 공식적으로 승인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홍콩이 암호화폐 허브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노력의 중요한 진전입니다. SFC의 이번 조치는 단순한 거래 및 보관을 넘어 암호화폐 관련 금융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더욱 포괄적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려는 움직임을 시사합니다.

이번 승인은 규제 프레임워크 내에서 스테이킹 활동을 허용함으로써 홍콩은 아시아 지역의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암호화폐 스테이킹에 대한 입장을 재고하고, 이 분야에서 더욱 경쟁적이고 혁신적인 디지털 자산 시장을 조성하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ETF와 스테이킹
무엇보다 주목받는 점은 이더리움(ETH) 및 솔라나(SOL)를 포함한 다양한 지분 증명 가상 자산에 대한 스테이킹을 승인하였다는 점입니다. 여러 지분 증명 자산을 규제 지침에 포함시킨 것은 SFC가 특정 암호화폐에 국한되지 않고 스테이킹의 기본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다른 PoS 자산으로 스테이킹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유연하고 미래 지향적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식은 SFC가 스테이킹의 광범위한 의미와 홍콩의 암호화폐 생태계의 전반적인 건전성과 성장에 대한 잠재적 기여를 신중하게 고려했음을 시사합니다
HashKey 및 OSL과 같은 플랫폼은 이더리움 ETF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HashKey는 암호화폐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승인을 받았으며, 현물 이더 ETF를 포함하여 홍콩에서 초기 이더리움 스테이킹 시장의 상당 부분을 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OSL 그룹 은 Kiln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기업 수준의 ETH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OSL은 디지털 자산 전용으로 상장된 회사이며 홍콩 최초의 라이선스를 취득한 스테이킹 서비스 제공업체로서 기관 고객과 전문 블록체인 인프라 제공업체 간의 협력은 홍콩을 중심으로 암호화폐 산업이 부흥할 것으로 보입니다.
홍콩과 미국의 ETF 스테이킹에 대한 차이
홍콩은 이더리움 ETF에 대한 스테이킹을 허용함으로써 현재 이더리움 ETF 스테이킹을 제한한 미국의 조치와 비교되어 상대적으로 경쟁적 우위를 차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암호화폐 규제에서 선두를 달리려는 홍콩의 야망은 ETF 내에서 스테이킹에 대해 보다 진보적인 입장을 취함으로써 홍콩은 이러한 수익 기회를 찾는 국제 투자자를 유치하여 미국에서 자본을 빼내고 아시아에서 디지털 자산 투자를 위한 선호 관할 구역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더리움 스테이킹에 대한 규제 승인이 출시 이후 거래량이 예상보다 낮았던 홍콩의 암호화폐 ETF 시장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고 믿고 있으며 ETF 스테이킹 승인은 더 많은 투자자를 유치하는 데 필요한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기능 | 홍콩 | 미국 |
현물 ETH ETF 스테이킹 | 예(검토 중/잠재적으로 허용) | 아니요(발행자는 스테이킹 기능 제거) |
라이선스를 취득한 거래소 스테이킹 | 예 | 규제 불확실성, 일부 집행 조치 |
주요 규제 기관 | 증권선물위원회(SFC) | 증권거래위원회(SEC) |
입장 주요 사유 | 시장 매력도 향상, 투자자 수익률 | 보안 분류, 투자자 위험에 대한 우려 |
시장 경쟁력 | 잠재적 경쟁 우위 | 일부 투자자에게는 매력이 떨어질 수 있음 |
홍콩의 접근 방식은 이더 ETF에서 스테이킹을 제외한 미국의 입장 및 소매 스테이킹을 금지한 싱가포르와 대조됩니다. 홍콩과 달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현물 이더리움 ETF에 대한 스테이킹을 허용하지 않았으며, 발행자는 신청서에서 스테이킹 기능을 제거했습니다.19 이는 규제 입장의 상당한 차이를 강조합니다. 미국 SEC의 신중한 접근 방식은 스테이킹된 암호화폐의 규제 분류 및 스테이킹과 관련된 잠재적인 투자자 보호 문제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특정 조건 하에서 규제하고 허용하려는 홍콩의 의지와 대조됩니다. 시장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며, 투자자 관심 증가와 홍콩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의 IRS 디파이 브로커 규정 폐지 분석 (3) | 2025.04.14 |
---|---|
뉴햄프셔주 하원, BTC 비축안 통과! 비트코인 시장에 어떤 변화가 올까요? (5) | 2025.04.11 |
이더리움 ETF 옵션 SEC 승인 영향 분석 (5) | 2025.04.11 |
비체인(VeChain)과 Shanghai Tanlian의 협력과 전망 (1) | 2025.04.05 |
이더리움 펙트라 업그레이드 ETH 가격 상승의 촉매가 될까? (1) | 2025.04.05 |
댓글